5월은 축제의 달 답게 정말 많은 행사와 가족 모임이 있습니다.
그중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이 대표적인 가족의 날인데요.
앞서 어린이날의 어린이는 몇살까지인가를 알아보았다면,오늘은 어버이날 의미와 어버이날 선물 종류와, 이 날 가족들은 어떤 추억들을 만드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어버이날이란
어버이날의 시작은 1956년 국회에서 매년 5월 8일을 '어머니날'로 정해 17회 (17년 연속)까지 기념한 뒤 <1973년 3월 30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6615호)>에서 어버이날로 기념일 이름을 변경하며 현재까지 기념식과 각종행사로 이 날을 기념하고 있으나 국경일은 아닙니다.
어버이날은 한국에서 시작한 기념일은 아닙니다, 영국의 사순절의 일요일에 부모님의 영혼에 감사하기 위한 풍습과, 카네이션으로 꽂아주는 풍습은 1910년경 미국의 한 교회에서 어느 여인의 부모님 죽음을 추모하기 위해 교인들에게 나누어 주던 꽂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러다 미국28대 대통령 토머스 우드로 윌슨이 매년 5월 2주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로 정하면서부터 기념일이 된 이후 지금도 해마다 미국의 5월 둘째 주 일요일은 살아계신 부모님께 빨간 카네이션을, 어머니가 죽은 사람은 하얀카네이션을 가슴에 꽂고 여러 모임을 갖으며, 각 가정에서는 자녀들이 부모님에게 선물을 합니다.
어버이날은 여가부에서 행사를 주관하며, 포상자를 각계 각층에서 선발해 효자상의 사회 분위기를 이끌어내고, 각 지방자치단체 특성에 맞게 행사를 진행하며 지방 자치단체 및 기관별로 기념식을 합니다.
그러나 정부 주관행사의 내실화 지침에 따라 중앙기념식은 하지 않는다.
나라가 어버이날을 제정한 목적은 위와 같지만 요즈음 어버이날에 대한 자녀들의 생각은 예전보다 많이 가벼워졌습니다.
어쩔수 없는 부분도 있지요. 어버이날을 준비하기앤 물가도 너무 올라서 마음은 크지만 선뜻 값비싼 선물을 선택하기는 늘 힘들고, 부모님께 감사한 마음이 크고 마음만도 중요하다는것을 알지만 부담도 못지않게 큰 부분이 사실이고 현실입니다.
하지만 주변을 잘 돌아보면 마음과 선물이 비례하기엔 너무 무리할수 있으니 어머지 아버지가 좋아하고 추억할수 있는 선물이면서 부담되지 않는 선물을 아래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머이날 선물 순위
어버이날 선물 관련하여 조사한 리서치 100명 중 70명 이상은 ‘주고싶은 선물’과 ‘받고 싶은 선물’ 모두 ‘현금’을 1위로 뽑았습니다.
선물 1위는 현금(60%). 2위는 금( GOLD), 3위는안마의자, 건강식품,건강가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세대별 선물 순위는. 10~20대 ‘직접 고른 선물’을, 30~50대 ‘현금’을 선택했습니다.
현금은 매년 언제나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금테크, 골드 가격이 많이 인상되며 금이 순위권에 들어온건도 눈여겨볼수 있습니다
연령대별 주고싶은 선물의 선호도는 현금의 경우 50대가 가장 높았고, 10대~20대는 건강식품 등 직접 고른 선물을 주고싶다는 비중이 높았습니다.
선물의 예산도 설이나 추석 명절보다 어버이날이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절반이 평균 선물 비용으로 15만원초과 30만원이하를 지출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최근 코로나 이 후 물가가 급상승하며 자연스럽게 지출 비용도 올라간 것으로 보입니다.
1위 | 돈 (Money) |
2위 | 금 (Gold) |
3위 | 건강용품, 건강식품 |
4위 | 카네이션 |
최근 금 가격이 급상승 하면서 금테크라는 말이 다시 급부상 하고 있습니다.
현금보다 금을 사두는 것이 더욱 가치있는 투자여서 부모님께 드리는 선물 안에 금이 순위권에 들어와있습니다.
로봇청소기와 안마기, 식기세척기도 어버이날 선물로 많은분들이 선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한 생활가전 몇대 있으면 연세가 드신 어르신들은 생활이 180도 편하고 달라집니다.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워주는 청소기나, 물걸레 기능이 되는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를 자동으로 세척해주는 제품도 있습니다 문턱을 넘나드는 청소기도 있습니다. 너무 비싼 로봇청소기 아니어도 가성비 좋은 청소기 순위는 유튜브만 잠깐 찾아보면 좋은 제품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어머지날 선물 흐름을 조사해봤습니다. 가장 좋은 선물은 부모님을 찾아뵙고 행복하고 뜻깊은 시간을 보내는 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올해도 부모님과 가족과 함께 뜻깊은 가정의 달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